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ython3 #동적계획법 #permutations
- container
- docker
- KT
- kibana
- 호스팅
- 개발자로드맵
- 벽부수고이동하기
- 2206
- 정보처리기사실기
- java
- 계정 여러 개 동시 사용
- elasticsearch
- filebeat
- GIT
- COLAB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HAXM
- logstash
- YOLO
- tensorflow2
- KT인턴
- github
- javascript #콜백함수 #비동기
- image
- 백준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 (7)
코딩하고자용 블로그
개요웹서버에서 HTTP 요청을 받을 때, POST, GET 외에 CONNECT 메서드를 받을 때가 있다.CONNECT 메서드는 주로 프록시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특정 서버 간의 터널을 설정할 때 사용된다. nginx에서는 request method로 CONNECT가 들어올 경우 클라이언트가 올바른 요청을 하지 않은 것(400 response code)으로 판단한다.이에 ngx_http_proxy_connect_module을 추가하여 connect 메서드를 허용하고 문제없이 proxy 역할을 할 수 있는 nginx를 구현하고자 한다.가상환경 구현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Docker를 통해 쉽게 컨테이너를 띄워 웹서버를 구현하고 있으며, 상용 서버와 같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Dockerfile 예시를 작성하고자..
본 글은 elastic 공식 홈페이지의 내용을 인용하여 정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더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식 홈페이지를 확인해주세요. https://www.elastic.co/kr 🍎 Elastic stack vs ELK stack Logstash, Kibana와 함께 사용되면서 한동안 ELK Stack(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이라고 널리 알려지게 된 Elastic은 2013년에 Logstash, Kibana 프로젝트를 정식으로 흡수하여 한 지붕 아래에서 함께 개발 중이다. 2015년도에는 Filebeat를 추가하며 ELK Stack 대신 제품명을 Elastic Stack이라고 정식으로 명명하면서 모니터링, 클라우드 서비스, 머신러닝 등의 기능을 계속해서 ..

본 글은 Docker docs 내용을 한글로 작성해가면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물입니다. 글 내용 중 필자의 생각을 첨가하여 docs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아래의 docs를 정독하시고,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https://docs.docker.com/ Docker Documentation docs.docker.com Start the tutorial docker run -d -p 80:80 docker/getting-started # -d : detached mode(in the background) # -p 80:80 : 호스트의 port 80번과 컨테이너의 port 80qjsdmf aovld # docker/getting-star..

본 글은 Docker docs 내용을 한글로 작성해가면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물입니다. 글 내용 중 필자의 생각을 첨가하여 docs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아래의 docs를 정독하시고,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https://docs.docker.com/ Docker Documentation docs.docker.com Docker Overview Docker is open platform for developing, shipping and running application. Docker는 Container라고 불리는 느슨하게 분리된(loosely isolated)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Conta..

호스팅 : 정보의 집약체인 서버의 전체 혹은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주는 서비스. 보통 우리가 웹, 앱의 서버를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24시간 내내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해야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회선을 사용해야 하며, 보안까지 갖추고 있어야한다. 따라서 기업의 서버의 경우 전문 업체의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호스팅에는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가 있으며, 이용방식 및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웹 호스팅에는 저렴하여 유명한 CAFE 24가 있다. [참고]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1311

Node.js를 공부하다가 이해가 되지 않아서 정리한다. 우선 콜백함수를 이야기하기 전에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자. 예를 들어 청소, 설거지, 요리라는 3가지의 해야 할 일이 있다고 가정하자. 동기는 위 그림처럼 하나씩 하나씩 해나간다. 그에 반해 비동기는 업체에 전화를 하여 청소, 설거지, 요리를 업체에서 동시에 하게 한다. 이 때 업체가 바로 객체이며, 무엇인가 일을 객체에게 시키고, 동기처럼 그 일이 끝나기를 기다리는게 아니라 그 객체가 나를 다시 부를 때까지 내 할 일을 하는것이 비동기이다. 돌아와 콜백함수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자. 콜백함수는 함수 안에서 특정한 시점에 호출되는 함수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함수 자체를 다른 함수 파라미터 인..